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 1930.07.15 ~ 2004.10.09)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알제리 태생의 프랑스 철학자입니다. 그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에드문트 후설의 언어학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을 자세히 읽고 다수의 텍스트에 활용한 해체 철학을 발전시켰습니다. 데리다는 포스트 모더니즘과 거리를 두려 의절했으나 포스트 모더니즘과 연관된 주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데리다는 그의 생애서 40권 이상의 책을 출간하였고 수백 개의 에세이와 공개 발표 역시 진행했습니다. 그는 인문 사회 과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중요한 철학자이자, 철학을 포함한 문학, 법, 인류학, 역사학, 응용언어학, 사회언어학, 정신분석, 음악, 건축, 그리고 정치 이론등에도 여러 활동과 업적을 남겼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그의 연구는 미국, 유럽, 남미 및 대륙 철학이 우세했던 모든 국가 전역에서, 특히 존재론과 특히 사회 과학과 연관된 인식론, 그리고 윤리, 미학, 현상학 및 언어 철학에 관한 논쟁에서 주요한 학문적 영향력을 보였습니다. 대부분의 영미권은 분석철학이 지배적이나, 현재 문학에서 데라다의 영향력이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유는 언어에 대한 오랜 관심과 예일대 시절에 저명한 문학평론가들과의 교류로 인한 연관성 때문일 것입니다. 그는 또한 해체주의적 건축과 음악과 예술과 예술 비평에도 널리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몇몇 비평가들은 자크의 후기 저서에서 윤리적, 정치적 주제를 다뤘던 것 중 <언어와 현상>(1967)을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이라고 여깁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의 <글쓰기와 차이>(1967) 그리고 <철학의 한계>(1972)를 주로 인용합니다. 데리다가 남긴 이러한 저서는 다양한 활동가들과 정치 운동에서도 영향력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점차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공인이 되었으며, 철학에 대한 그의 접근과 그의 작품의 악명 높은 난해함은 데리다를 자주 논란 속으로 끌어들이곤 했습니다.
자크 데리다의 생애와 업적
데리다는 알제리 엘비아르의 여름 별장 안에서 하임 아론 프로스퍼 찰스 데리다와 조지트 술타나 에스더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가족은 톨레도 출신의 세 파르계 유대인이었고, 1870년 크레뮤 칙령으로 알제리 유대인들에게 완전한 프랑스 시민권을 부여하면서부터 프랑스인이 되었습니다. 그의 부모는 그에게 '재키'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나중에 파리로 이주하면서 좀 더 명확하게 ‘자크’라는 이름을 채택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나, 1921년 찰리 채플린 영화 '더 키드'에서 전 세계에 이름을 알린 미국 아역배우 ‘재키 쿠건’의 이름을 따서 새로 지어주었다는 보도도 있긴 합니다. 그는 또한 할례 때 친삼촌 유진 엘리어허우의 이름을 따서 미들네임을 갖게 되었는데, 이 이름은 그의 형제들과 달리 출생증명서에 기록되지 않아, 훗날 그의 '숨겨진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는 다섯 아이 중 셋째였습니다. 형 폴 모이즈는 데리다가 태어나기 전인 생후 3개월도 못 되어 세상을 떠나면서 자신이 일찍 세상를 떠난 형의 후임적 역할은 아닐까로 평생 자신을 의심했다고 전해집니다. 데리다는 알제리와 엘비아르에서 어린 시절을 지냈습니다.
1942년 개학 첫날 알제리의 프랑스 관리자들은 비치 정부가 정한 반유대주의 할당량을 시행하면서 데리다를 장관직에서 추방했습니다. 그는 난민 교사와 학생들이 만든 유대인 리치에 참석하기보다, 1년 동안 몰래 학교를 빼먹고, 프로 선수를 꿈꾸며 많은 축구대회에 나가기도 했습니다. 청소년기의 데리다는 철학자들과 작가들의 작품에서 가족과 사회에 대항하는 반란의 도구를 발견했습니다. 이 도서 목록에는 카뮈와 사르트르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유대인의 날은 영국 정부가 1942년 유대인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날입니다. 이때, 데리다는 유대인들이 학교에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들이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949년, 그는 파리로 이사하여 루이 르 그랑 대학을 다녔고, 그의 철학 교수는 에티엔 본이었습니다. 그는 명문 고등사범학교(ENS) 입학을 준비했으나 낙방하였고, 다시 준비하여 1952년에 합격했습니다. ESS에서의 첫날, 데리다는 루이 알튀세르를 만나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는 벨기에 루뱅에 있는 후설 기록 보관소를 방문한 후 에드먼드 후설 아래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마쳤습니다. 그 후 1956년 경쟁이 치열한 하버드 대학에 합격하며 연구비를 받았고, 도서관에서 제임스 조시의 -를 읽으며 보냈습니다. 그는 보스턴에서 정신분석학자인 마가릿 오쿠터리어와 결혼했습니다. 데리다는 1954년부터 1962년까지 알제리 독립 전쟁 중 군인 복무 대신 군인의 자녀들을 가르쳐달란 요청을 받아, 1957년부터 1962년까지 아이들에게 프랑스어와 영어를 가르쳤습니다.
이후, 그는 소르본느에서 철학을 가르쳤으며, 그곳에서 조루주 캉길헴, 수잔 바슐라르, 장의 조수로 일했습니다. 1963년에는 첫 아이 피에르를 낳았습니다. 1964년 루이 알튀세르와 장 이폴리트의 추천으로 그는 ENS의 교수가 되었고, 1965년 데리다는 문학 및 철학 이론가들로 구성된 텔 퀄 그룹에 7년간 속해있었습니다. 그러다 1971년 이후 마오쩌둥주의와 중국의 문화 혁명을 수용하는 태도에 의구심을 품고 멀어졌습니다.
1966년 존스 홉킨스 대학의 구조주의 콜로키움에 기고한 <인간 과학 담론의 구조, 기호 및 놀이>를 통해 국제적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1967년에는 그의 둘째 아들 젠이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그의 첫 세 권의 책인 <글쓰기와 차이>, <언어와 현상>, <그라마톨로지>를 출판합니다. 1980년, 데리다는 첫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파리 대학에 이전에 출판했던 책 중 10권을 제출하여 국가 박사 학위를 인정받았습니다.
이후 자크는 1984년에 파리의 에꼴 드 오트 에뛰드 과학 학회의 정교수가 되었습니다. 학계에서는 프랑수아 샤텔레 등과 함께 1983년 국제 철학 대학을 공동 설립했습니다. 이 곳은 학계의 다른 곳에선 수행하기 어려운 철학 연구를 위한 기관이며, 그는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1985년에는 자신의 셋째 아이 다니엘을 낳았습니다.
1986년 자크는 존스 홉킨스 대학, 예일대, 뉴욕대, 스토니 브룩대, 뉴스쿨 포 소셜 리서치, 유럽대학원 등 미국과 유럽 주요 대학에서 정기 초빙교수를 역임했습니다. 그는 케임브리지대, 컬럼비아대, 뉴스쿨 포 소셜 리서치, 에 섹스 대, 루벤대, 실레지아대, 코임브라대, 아테네대 등 세계 여러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2001년에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아도르노 프리스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분석적 전통의 저명한 철학자들에 의해 케임브리지의 데리 명예 학위는 반발을 받았습니다. 퀴네, 마르쿠스, 암스트롱 등의 철학자들은 대학에 보낸 서한에서 "데리다의 작업은 명확성과 엄격함의 인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우리에게 반지성적인 공격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는 이성, 진리, 학문의 가치는 저명한 대학에서 명예학위를 수여할 충분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라고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자크 데리다는 말년에 두 편의 전기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데 참여했습니다.
2002년, 데리다는 췌장암을 진단받았습니다. 그리고 2004년 10월 9일 이른 시간, 파리의 한 병원에서 수술 중 사망했습니다.
사망 당시 데리다는 여름에 가다머 교수 자격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에 가기로 합의한 상태였는데, 당시 하이델베르크의 피터 호멜호프는 데리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얘기했습니다. "학문으로서의 철학의 경계를 뛰어넘어 인문학뿐만 아니라 시대 전체의 문화적 인식을 선도한 지적인 인물입니다.”
*다른 철학자도 궁금하다면?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 1 - 동시대 붕어빵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영국의 수학자, 철학자이자 공공 지식인이었습니다. 그는 수학, 논리학, 집합론, 분석 철학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enkedia.com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생애 업적 - 동시대 붕어빵
enkedia.com
'철학자 > 서양 철학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 2 (0) | 2024.03.15 |
---|---|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 (0) | 2024.03.13 |
철학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 2 (0) | 2024.03.11 |
철학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 1 (0) | 2024.03.10 |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생애 업적 (0)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