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주의(人文主義, humanism)
인본주의(인문주의, 휴머니즘)는 삶에 대한 민주적이고 윤리적인 태도로, 인간은 자기 삶에 의미와 형태를 부여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입장을 취하는, 넓게 보면 윤리학에 해당되는 중세철학입니다.
개념
인본주의의 개념, 인문주의 용어의 의미는 그것과 동일시되는 지적 운동의 수에 따라 달라져 왔습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대 작품은 이탈리아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을 일으켰습니다. 계몽주의 시대에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본주의적 가치가 강화되어 인간에게 세계를 탐험할 수 있는 자신감을 주었습니다. 20세기 초까지는 인문주의 조직이 유럽과 미국에서 번성했고 이후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 21세기 초에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복지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의 자유, 자율성 및 진보를 옹호합니다. 이는 인류를 개인의 진보와 발전에 책임이 있는 존재로 보고, 모든 사람의 평등하고 고유한 존엄성을 옹호하며, 세상과의 관계에서 인간에 대한 존중을 강조합니다.
20세기를 기점으로, 인본주의 운동은 일반적으로 비종교적이고 세속주의와 일치합니다. 흔히 휴머니즘은 종종 초자연적 근원으로부터의 계시보다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주체와 과학 및 이성에 의존하는 데 초점을 맞춘 비신론적 관점을 말합니다. 인본주의자들은 인권, 언론의 자유, 진보적인 정치,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은 종교를 유지하는 것이 도덕성의 조건이 아니며, 교육과 국가에 대한 과도한 종교적 개입을 반대합니다.
현대 인문주의 조직은 휴머니스트 인터내셔널의 산하에서 운영됩니다. 잘 알려진 인본주의 협회는 영국의 휴머니스트 협회와 미국 휴머니스트 협회가 있습니다.
인문주의 어원
‘인문주의’라는 용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키케로를 비롯한 사상가들이 고대 로마의 자유 교육과 관련된 가치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습니다. 이 어원은 현대 대학의 인문학, 즉 철학, 역사, 예술, 문학 및 관련 학문의 개념으로 남아있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유마니스타로 다시 등장하면서, 16세기에 영어에 들어왔습니다. 인본주의자라는 용어는 고전 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고전 교육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사무엘 존슨(Samuel Johnson)이 1755년에 저술한 영향력 있는 영어 사전(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1755에서 인본주의는 프랑스어 인본주의자(humanist)에서 유래한 철학자 또는 문법학자로 정의됩니다. 나중에는 ‘스코틀랜드 학교에서 사용되는 용어’라는 의미가 사전에 추가되었습니다. 1780년대 토마스 하우스는 유명한 유니테리언 전쟁 당시 조셉 프리스틀리의 많은 반대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유니테리언과 유니테리언주의의 서로 다른 교리적 의미로 인해, 하우스는 '그리스도의 단순한 인성을 유지한' 프리스틀리와 같은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인본주의와 인본주의의 보다 정확한 호칭’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인본주의의 신학적 기원은 구식이라 간주합니다.
휴머니즘이라는 용어는 19세기 초 독일에서 두 가지의 다른 의미를 지닌 영어로 돌아왔습니다. 하나는 고전 문학 연구와 관련된 학문적 용어이고, 다른 하나는 비종교적인 삶에 대한 유신론적 접근 방식을 가리키는 더욱 보편적인 용어입니다. 바이에른의 신학자인 프리드리히 임마누엘 니에타 머(Friedrich Emmanuel Nietammer)는 독일 중학과정에 도입하려 했던 새로운 고전 교육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인본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용어는 곧 게오르그 보이트(Georg Voigt)와 제이콥 버크하르트(Jacob Burckhardt) 같은 다른 학자들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20세기에 와서는 이 단어는 더 정제되어 삶에 대한 자연주의적 접근 방식과 인간의 행복과 자유에 초점을 맞추는 현대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휴머니즘 정의
휴머니즘에 대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확실한 정의는 없으며, 학자들은 이 용어에 다른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철학자 시드니 훅(Sidney Hook)은 1974년에 인본주의자는 교회나 기성 종교에 속하지 않으며, 독재를 지지하지 않고, 사회 개혁을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하지 않으며, 또한 특정 문명에 문화를 강요하지 않는다고 기재했습니다. 훅은 또한 인본주의자들이 기아 종식과 건강, 주택 및 교육 개선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동일한 전집에서 인본주의 철학자 H. J. 블랙햄은 인본주의란 모든 인간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높여 인류의 사회적 조건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춘 개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99년, 진 파울러(Gene Fowler)는 인본주의의 정의에는 신성에 대한 거부와 인간의 선함과 자유에 대한 강조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또한 공통된 신념체계나 교리는 부족하지만, 인문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행복과 자기실현을 지향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다른 중세철학도 궁금하다면?
중세철학: 성리학(Neo-Confucianism) - 동시대 붕어빵
성리학(性理學, Neo-Confucianism)은 중국의 도덕, 윤리, 형이상학적 철학으로, 주희(朱熙)를 중심으로 12세기 남송에서 발전한 유학의 주류 학파 중세철학입니다. 이는 성즉리(性卽리)의 약칭이며, 주
enkedia.com
중세철학: 스콜라철학의 개념(scholasticism) - 동시대 붕어빵
스콜라철학 학파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10가지 범주에 입각한 철학적 분석의 비판적인 유기적 방법을 사용한 중세 철학 학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기독교 학파는 유대교와 이슬람 철학을 번
enkedia.com
'철학 학파 > 중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철학: 스콜라철학의 개념(scholasticism) (0) | 2024.03.08 |
---|---|
중세철학: 성리학(Neo-Confucianism) (0) | 2024.03.05 |